CS36 [클라우드] 8. 스토리지 가상화 (Storage Virtualization) 스토리지 기술스토리지 •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장치스토리지 기술 • HDD, SSD 등과 같은 다양한 물리적 장치를 비롯하여 파일 시스템, 데이터 암호화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기술을포함고려사항 • 데이터 안정성, 신뢰성, 가용성, 성능, 확장성 및 비용 등을 고려 • 복제, 백업, 복구, 암호화, 압축, 색인화, 분산 등의 기술을 통해 제공 스토리지 가상화 기술스토리지 가상화 기술 • 여러 개의 물리적 스토리지 장치를 하나의 가상 스토리지로 묶어서 제공하는 기술, 이를 통해 효율적으로 자원 관리대표적인 예시(Local) •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RAID) • Logical Volume Manager (LVM) RAID•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를 일.. 2024. 5. 10. [클라우드] 7. 현대 네트워크 가상화 (Modern Network Virtualization) Packet Flow in KernelL2 (Layer 2): 패킷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처음 받아들여지는 레이어, 주로 물리적 주소인 MAC 주소를 사용Ingress: 패킷이 커널 내부로 들어오는 지점L3 (Layer 3): 네트워크 레이어, 주로 IP 주소를 사용하여 패킷의 라우팅을 결정, 여기서 패킷은 다음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도록 설정Proto Handler: 패킷이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그에 맞는 프로토콜 핸들러로 패킷을 전달Routing: 패킷이 최종 목적지로 라우팅되는 방식을 결정, 패킷이 내부 라우팅 테이블에 따라 적절한 인터페이스로 전송되거나 다른 라우터로 전달Forwarding: 패킷이 최종 목적지를 향해 전달되는 단계,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를 사용하여 패킷.. 2024. 5. 1. [클라우드] 6. Kubernetes (쿠버네티스) Google과 컨테이너 • Google의 업무 방식 • Gmail에서 YouTube, 검색에 이르기까지 모두 컨테이너에서 실행 • 개발팀은 컨테이너화를 통해 더욱 신속하게 소프트웨어를 배포 • 매주 수십억 개가 넘는 컨테이너를 생성 • 쿠버네티스 • 대규모 워크로드를 운영/관리한 경험과 노하우가 축적된 다년 간의 프로젝트로 컨테이너를 통합 관리함 • 그리고 2014년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외부로 공개 • Go로 작성된 오픈소스 SW (Apache License 2.0) • Cloud-Native Computing Foundation (CNCF) 에서 관리 • 컨테이너 배포, 네트워크, 스토리지 관리 정책을 세부적으로 명세 가능 (네트워킹 제공x => 정책들을 관리) • 대규모의 클러스터 운영이 가능하도록 .. 2024. 4. 17. [클라우드] 5. 네크워크 가상화(Network Virtualization) 네트워크 가상화 역시 네트워크 개념부터 알아보자 네트워크의 구성 네트워크는 ① 컴퓨터, ② 전송 매체, ③ 네트워크 장비로 구성 스위치 • 여러 대의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한 네트워크 안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 라우터 • 네트워크를 구분 짓고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 로컬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스위치를 쓰고 실질적으로 라우터를 볼일이 없다. 라우터는 주로 통신사, 은행 등등 사용 네트워크 접속장치 네트워크 접속장치는 통신망 구성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하드웨어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다양한 형태의 LAN을 연결하면 좀 더 복합하고 큰 WAN 형성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치는 NIC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연결 허브, 중계기, 스위치, 라우터, 게이트웨이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네트워킹 문제 해결 1... 2024. 4. 4. [클라우드] 4. Container (Docker) 인프라 구조의 발전 가상 머신 사용의 문제점 가상 머신을 사용하면 가상 서버마다 필요한 소프트웨어 설치 필요 쉘 스크립트를 통한 설치 및 설정 자동화도 어렵고 안정성에 영향을 줌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mmutable Infrastructure” 라는 패러다임 등장 기존 머신들을 쓸때 가상 머신들을 여러개 띄우지만 막상 CPU 사용량을 보면 되게 미미하다. 한쪽에서 과도하게 사용하여 다른 널널한 자원을 VM이 쓸수는 없을까? -> 이런 개념이 컨테이너로 만들어지는 이유 Immutable Infrastructure OS 커널과 서비스 환경을 분리해 커널의 수정 없이 서비스 환경의 교체 가능 서비스가 수정되면 이전 서비스 환경을 새로운 서비스 환경으로 교체 “Immutable Infrastructure.. 2024. 3. 21. [클라우드] 3. 서버 가상화(Server Virtualization) 서버 가상화 하나의 물리적 서버 리소스에 여러 개의 서버 환경을 할당 • 각각의 환경에 OS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함 물리 서버의 수가 줄어들기에 공간 절약과 비용 절감 효과 가상 서버 중 하나가 위협에 노출되더라도 다른 가상 서버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 - Intrusion Tolerance (악의적인 공격으로부터 정보 시스템을 방어하기 위한 설계 접근 방식) 서버 가상화 기술 종류 Type-1 Hypervisor • 하드웨어 위에 바로 Hypervisor 가 동작 • Native 또는 Bare-metal Hypervisor 라고도 함 • 호스트 운영체제가 없기 때문에 리소스 관리가 유연 • 자체적인 물리 머신 관리 기능이 제한적임 컴퓨터에 VirtualBox를 깔거나 Hypervisor를.. 2024. 3. 21. [클라우드] 2. Cloud Services and Technologies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사업자 (Cloud Service Provider: CSP)가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고객(기업)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 기업이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아님 여기서는 주로 IaaS/PaaS로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집중할 것임 • 예를 들어, 가상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클라우스 서비스의 종류 컴퓨팅 서비스 • 가상 서버, 로드 밸런서, 오토 스케일 스토리지 서비스 네트워크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컴퓨팅 서비스 가상 서버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 서버 가상화 • 물리 서버가 가진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을 논리적으로 분리 하이퍼바이저 (hypervisor) • 한 대의 물리 서버에 여러 개의 가상 서버를 생성 • 하드웨어.. 2024. 3. 21. [클라우드] 1. Introduction to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 인터넷을 통해 원격지( remote ) 에서 제공하는 확장성이 있는 자원의 사용 모델을 도입한 분산 컴퓨팅의 특수한 형태 클라우드가 보급된 배경 • 대부분의 기업들이 자체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 비용이 비싸고 복잡한 작업 요구 • 대부분의 자원이 낭비 클라우드 컴퓨팅이 인기를 얻게 된 이유 • 접근성 –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는 어디에서나 접근 가능 • 확장성 – 기업이 필요에 따라 자원을 확장/축소 가능,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맞게 IT 인프라 조정 가능 • 유연성 – 다양한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가능 • 비용절감 – 필요한 만큼 자원을 사용하고 비율을 지불, 초기 인프라 구축 비용 절감 금융권은 그럼에도 클라우드로 잘 못 넘어오는 이유? 1. 개인 정보 보안 문제 2.. 2024. 3. 21. [HTTP] HTTP 헤더 HTTP 헤더 1 엔티티(Entitiy) 용어가 사라지고 ⇒ 표현(Representation) 이라고 불린다. 표현 표현은 요청이나 응답에서 전달할 실제 데이터를 말함 데이터 유형(html, json), 데이터 길이 , 압축 정보 등등 종류 Content-Type : 표현 데이터의 형식 설명 application/json , image/png Content-Encoding : 표현 데이터 인코딩 데이터를 읽는 쪽에서 인코딩 헤더의 정보로 압축을 해제 gzip, deflae, identity Content-Language : 표현 데이터의 자연 언어 Content-Language: en → 영어 Content-Language: ko → 한국어 Content-Length : 표현 데이터 길이 Transfer.. 2024. 3. 20. [HTTP] HTTP 상태코드 HTTP 상태코드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의 처리 상태를 응답에서 알려주는 기능 1xx(Informational) :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중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2xx(Successful) : 요청 정상 처리 200 OK : 요청 성공 201 Created : 요청 성공해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 202 Accepted : 요청이 성공적이지만, 처리가 완료되지않음 204 No Content : 요청이 성공적이지만, 응답 페이로드에 보낼 데이터가 없음 3xx(Redirection) : 요청을 완료하려면 추가 행동이 필요 영구 리다이렉션 : 특정 리소스의 URI가 영구적으로 이동 ex) /members → /users 301 Moved Permanenlty 리다이렉트시 요청 메서드가 GET으로 변하고 본문이.. 2024. 3. 20. 이전 1 2 3 4 다음